본문 바로가기

취미 이야기/여행

구례 가볼 만한 곳│천은사

반응형

  전라남도 구례군에는 유명한 절이 두 군데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절은 화엄사로, 신라 시대부터의 역사를 지닌 거대한 사찰입니다. 그에 비해 천은사(泉隱寺)는 상대적으로 아담한 규모로, 대한불교조계종에서 화엄사의 말사로 관리하고 있는 절입니다. 천은사도 창건 시기가 신라 시대로 유서가 오래된 사찰이고 결코 작은 규모가 아니지만, 화엄사와 너무 가까운 죄(?)로 종종 상대적인 크기가 비교되곤 합니다.

  하지만 절의 크기와는 별개로, 천은사는 정말 아름다운 경관을 가지고 있는 절입니다. 지리산 자락의 풍경과 사찰의 건물 배치, 조경이 한데 어우러지며 그야말로 그림 같은 풍광을 보여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천은사의 일주문 앞 잔디밭입니다. 소나무가 예쁘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소나무와 현대의 잔디 조경이 석축과 함께 잘 어우러져 있습니다.

 

  주차장은 매우 넓고 깔끔합니다.

 

  천은사의 일주문입니다. '지리산 천은사'라고 쓰여 있습니다. 조선 후기의 서예가인 이광사의 글씨라고 합니다. 참고로 저 일주문부터 절이 시작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현대적인 개념으로는 일주문 앞 잔디밭부터 주차장, 그 주변의 산까지 다 천은사 소유의 땅일 수도 있고 지번 상 천은사의 경계가 더욱 넓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절의 안팎을 가르는 경계는 일주문이었습니다.

 

  일주문에 들어서면 종합안내도가 바로 보입니다.

 

  천은저수지 주위에 조성된 천은사 둘레길과 조형물이 보입니다. 산책하기에 좋은 길이라고 하는데, 오늘의 목표지는 사찰이기 때문에 일단 지나갑니다.

 

  절로 들어가기 위해 계곡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다리를 흔히 피안교라고 부르곤 합니다. 일주문과 마찬가지로 절 안팎, 속계와 진계를 상징적으로 나누는 건축물입니다. 다리 위에는 누각이 있는데, 수홍루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홍루 옆에는 미스터션샤인 드라마 촬영지였다는 안내 간판이 서 있습니다. 이런 입간판이 몇 년 지나면 색이 바래거나 파손되어 보기 좋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다행히 깔끔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수홍루와 다리의 모습입니다. 많은 분들이 사진 찍기 좋은 명소로 꼽는 곳입니다.

 

  다리 위의 누각은 조선 후기에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아치 부분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보입니다.

 

  절 안쪽 반대편에도 현대에 신축한 듯한 다리가 하나 더 있습니다. 이 다리 덕분에 수홍루가 사진 명소가 될 수 있습니다.

 

  수홍루 아래에 서면 천은저수지를 볼 수 있습니다. 지금은 유량이 적은 편이라 물이 졸졸 흐르지만, 물이 많을 때에는 상당한 장관을 보여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수홍루를 건너가면 계단 위에 사천왕문이 보입니다.

 

  사천왕은 불교에서 수미산을 지키는 존재로, 동서남북의 사방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사천왕의 이름을 알아도 막상 어떠한 상이 누구인지 알기가 힘든 경우가 많은데, 천은사에서는 사천왕상 앞에 팻말을 세워 친절하게 안내를 해 주고 있습니다. 사진에서 왼쪽이 광목천왕(서쪽), 오른쪽이 다문천왕(북쪽)입니다.

 

  사진에서 왼쪽이 지국천왕(동쪽), 오른쪽이 증장천왕(남쪽)입니다.

 

  사천왕문을 지나가면 또 계단이 나오고, 그 위에 석탑이 배치된 정원이 있습니다.

 

  조선시대의 조경 방식처럼 바닥에는 마사를 깔아 놓기는 했지만 각진 석축과 석탑, 동백나무와 단풍나무 등의 수종을 보았을 때 근현대 이후 조경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는 추측이 듭니다. 물론 전문가도 아니고, 사찰 건축은 완전 문외한이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입니다.

 

  계단 위에는 운고루가 보입니다. 

 

  보제루의 모습입니다. 건물(당우) 입구는 절 안쪽으로 있으므로 뒤편입니다. '보제'는 '널리 구제한다'는 의미로, 강연이나 집회가 주 목적인 건물이라고 합니다. 맞배지붕의 측면 부분이 상당히 고풍스럽게 보입니다.

 

※ 사찰의 건물을 흔히 당우(堂宇)라고 합니다. 흔히라고 말하기는 했지만, 절과 깊은 인연이 없는 이상 당우라는 말은 들어볼 일이 거의 없는 단어입니다. 제가 전문적인 학자도 아니고, 이 글도 학술적인 글이 아니므로 건물 또는 인물의 이름과 같은 고유명사를 제외하고 다른 부분은 최대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말로 대체하여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계단을 올라가서 왼쪽 보제루 쪽으로 시야를 돌리면 천은사 유물 수장고가 보입니다. 현대에 지은 건축물이라 아직 나무 색이 도드라집니다. 시간이 지나면 점점 다른 건축물과 마찬가지로 절의 풍광에 어우러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운고루에는 북과 종 등의 사물(범종, 법고, 목어, 운판)이 걸려 있습니다. 주심포 양식의 건물이지만 화려한 단청으로 장식되어 있고, 팔작지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의 웅장함이 좀 더 강조되어 보입니다.

 

  석축의 상태나 기둥의 장식을 볼 때 이 건물도 근현대 시기에 지어지거나 개축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기둥부에 있는 구름 모양의 장식이 꽤 독특합니다.

 

  절의 중심부인 극락보전 주위의 모습입니다. 사찰의 중심 건물에 누구를 모시느냐에 따라 중심 건물인 전(殿)의 이름이 달라지는데, 아미타불을 모시고 있어 극락보전이라는 이름을 붙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천은사는 저 극락보전을 포함하여 총 6개의 보물(국가지정문화재)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우리가 절에서 극락보전보다 흔하게 볼 수 있는 대웅전 또는 대웅보전이라는 이름은 석가모니를 모시고 있는 절의 중심 건물에 붙는 명칭입니다.

 

  극락보전 맞은편에는 올라오는 길에 보았던 보제루와, 옆면 화승당이 보입니다. 절의 스님들이 거주하는 곳입니다. 살짝 열린 문 안쪽에 보이는 플라스틱 양동이나, 대청마루에 놓인 짐을 보았을 때 현재에도 원래의 용도대로 사용되고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극락보전에서 바라본 마당의 모습입니다. 매우 고즈넉한 느낌이 듭니다.

 

  특히 설선당과 보제루, 지리산 원사봉 자락의 조화가 매우 아름답게 보였습니다. 

 

  이렇게 거주나 강연 목적의 건물들과 달리,

 

  절의 중심이 되는 극락보전은 정말로 화려합니다. 아까 올라오기 전 운고루의 단청도 화려한 편이었지만, 역시 본전에 가져다 댈 정도는 아닙니다. 제일 화려하고 웅장하게 전통 건축물을 짓고자 할 경우 사용되는 건축 양식이 다포 형식의 팔작지붕 건물인데, 이 극락보전이 바로 그러한 형태에 해당됩니다. 게다가 용과 봉황의 머리 모양 장식까지 있어 그 화려함을 더하고 있습니다.

 

  옆의 배롱나무 꽃의 선명한 붉은색이 묻혀 버릴 정도로 요란하게 화려한 장식입니다.

 

  극락보전 안의 모습입니다. 가운데에 앉아 있는 부처님이 아미타불입니다. 양 옆에 서 있는 사람(?)들은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입니다. 자비(왼쪽 관세음보살)와 지혜(오른쪽 대세지보살)로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들로, 굳이 요즘 말로 하자면 아미타불의 보좌관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은 불교에서 유명한 경문인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의 두 주인공으로 불가에서 상당히 유명합니다. 그러고 보니 절에서는 저렇게 세 명이 한 세트(?)로 있는데, 대세지보살만 인지도가 많이 많이 떨어지네요…….

  아미타불 뒤에 있는 그림이 천은사에 있는 여섯 개의 보물 중 제일 인지도가 높은 보물 제924호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입니다. '천은사라는 절 안, 극락전이라는 건물 안에 있는 아미타불이라는 이름의 부처님 불상 뒤쪽에 걸어 놓는 불화'라는 뜻입니다.

 

  극락보전 안쪽의 천장 역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습니다. 특히 용 머리와 더불어 용 몸통 모양의 장식이 지붕 가운데를 차지하고 있어 상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다만 수많은 연등으로 천장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 점이 조금 아쉬웠습니다.

 

  내부 단청은 바깥쪽에 비해 많이 낡고 퇴색하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다양한 문양 및 색이 배합되어 있는 데다 각종 장식물까지 많아 여전히 화려한 느낌을 줍니다.

 

  한옥 건축물 내 지붕과 처마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자 할 경우 흔히 찍게 되는, 사진 가운데에 추녀와 기둥이 위치하는 구도입니다. 약간 정형화된 설정샷 느낌이 나긴 하지만, 서까래와 부연으로 이루어진 겹처마부터 다포 양식의 공포와 그를 장식하는 단청까지 한눈에 보여주기에는 이만한 구도가 또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체적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느껴지는 아름다움도 있고요.

 

  극락보전 앞에는 최근에 만든 것으로 보이는 우물이 하나 있습니다.

 

  극락보전 동편(우측)의 명부전입니다. 안이 잠겨 있어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명부전에서는 일반적으로 지장보살을 모시고 있습니다. 또한 돌아가신 분들이 생전에 얼마나 죄를 지었나 심판을 하는 열 명의 왕이 같이 모셔져 있는 건물이기도 합니다. 그 열 명의 왕 중 제일 유명한 왕은 염라대왕이 아닐까 싶습니다. 흔히 49재나 천도재와 같이 돌아가신 분들이 안전하게 저승으로 갈 수 있도록 바랄 경우에는 이 건물이 매우 중요합니다. 유명한 인도자(지장보살) 및 심판관(시왕)이 같이 있는 곳이니까요.

 

  극락보전과 명부전의 뒤로는 진영각이 있습니다. 설명을 찾을 수가 없어서 저기에 누구를 모시고 있는지는 알 수가 없었습니다. 흔히 진영각에는 그 절을 최초로 건립하거나 창시한 높은 스님(조사)이나 유명한 고승을 모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명부전 쪽의 극락보전 측면입니다. 불화가 그려져 있는 점이 특징이라면 특징입니다.

 

  반대쪽 측면에도 역시 불화가 그려져 있습니다.

 

  극락보전의 뒷 모습입니다. 지붕 옆 쪽에 그려 둔 원이삼점이 잘 보입니다.

 

  극락보전 옆 첨성각과 건물의 기단, 계단 등의 모습입니다.

 

  첨성각의 모습입니다. 신라의 유명한 문화유산인 첨성대의 '첨성'과 같은 한자를 사용합니다. 즉 별을 관찰하는 곳이라는 의미를 가진 건물이며, 이 '별을 본다'가 '깨달음을 얻다'를 은유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수행을 하는 건물이라는 뜻이 됩니다. 다만 스님들의 경우 절에서 생활하는 것 자체가 수행을 위한 일이기 때문에 저곳이 생활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극락보전과 첨성각을 지나 올라가면 팔상전(좌측)과 응진전(우측)이 보입니다.

 

  팔상전은 극락보전에 비견될 만큼 건물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 건물에는 석가모니의 일생에서 중요한 여덟 장면을 그려 둔 팔상도가 모셔져 있기 때문입니다. 여덟 매의 그림은 석가모니의 일생을 상징하므로, 이를 모신 건물인 팔상전 역시 본전인 극락보전과 마찬가지로 높은 격을 가지게 됩니다. 다만 건물의 크기는 팔상전 측이 확연히 작습니다.

 

  이 건물은 응진전입니다. 옆의 팔상전이 석가모니의 일생을 모신 건물이라 일부러 그 옆에 배치하였을 수도 있는데, 응진전에는 석가모니의 제자 등을 모시는 건물입니다. 특이하게 이 건물의 대보에는 범어(산스크리트어 실담자)가 쓰여 있습니다. 사실 석가모니나 그 제자들 모두 범어를 썼을 테니 한글이나 한자보다 이 편이 더 근본에 가까운 디자인이 아닐까 싶기는 합니다.

 

  팔상전 옆에는 관음전이 있습니다. 이름을 보면 바로 알 수 있지만, 관세음보살을 모신 건물입니다. 위에서 이야기하였듯이 아미타불과 함께 있는 두 보살 중 하나가 관세음보살인데, 이렇게 별도의 건물까지 따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실세임이 분명합니다……는 사실 농담이고, 불교의 수많은 부처님과 보살, 신들 중 관세음보살의 인기(신앙심)가 특히 높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입니다. 왜냐하면 관세음보살은 자비심으로 사람들이 지금 현재의 삶에서 겪는 어려움을 없애 주는데, 당장 힘든 생활을 이어가는 사람들에게는 '다음 생에 구해줄게요', '지옥 가면 구해줄게요'라는 말보다 '지금 겪는 고통에서 구해줄게요'가 훨씬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당장의 도움이 필요하니까요. 그래서 관세음보살이 다른 보살들보다 훨씬 많은 사랑과 믿음을 받고 있습니다.

 

Q. 아미타불 옆에 관세음보살과 함께 서 있는 보살의 이름은?

A. 같이 있는 두 명에 비해 상대적으로 혼자만 유명하지 않은 분입니다……. 위쪽 극락보전 이야기를 참고해주세요.

 

  삼성전입니다. 칠성(북두칠성), 독성(나반존자), 산신(산신령)을 모시는 건물입니다. 북두칠성은 사람의 수명 및 길흉화복과 연관되어 있는 도교의 신입니다. 나반존자는 그 정체가 정확하지는 않은데, 기도하는 사람이 원하는 것을 들어주는 힘이 강하다(영험하다)고 합니다. 산신령은 절이 위치한 그 산의 땅주인(?) 격인 존재로, 산의 땅을 빌려 쓰는 절의 입장에서 땅주인에게 집세……라고 해야 하나…… 여하튼 정성을 보이는 것이 절의 안전에 중요하므로 모시고 있습니다. 즉 이 삼성전에서는 민간신앙, 샤머니즘 또는 도교 등 불교 밖에서 믿는 신앙이 반영된 건물입니다. 웬만한 크기의 절이라면 이러한 건물은 항상 존재하기는 하는데, 통상적으로 '삼성각'으로 이름을 짓는 것에 비해 천은사는 특이하게 '삼성전'으로 이름을 붙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절에서 '전(殿)'이라는 글자는 부처님과 같이 불교 내의 위인들을 모시는 건물에만 붙여주므로 외부 유입 신앙이 반영된 삼성각의 경우 '각(閣)'이라는 글자가 이름에 붙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좀 전의 관음전부터 뭔가 설명이 이상해지기 시작하는데, 사실 여기서부터는 불교 교리와 융합한 기복 신앙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곳이기 때문입니다. 부처님이 훌륭한 말씀을 많이 하고 행동으로도 보여주셨지만,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그 말과 행동보다 당장 나에게 도움이 되는가 여부가 더욱 중요하게 다가옵니다. 대중을 구제하는 것이 불교(대승 불교)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이므로 대중이 절에 와서 부처님의 설법을 듣게 하기 위한 유인책이 반드시 필요하였을 것입니다. 그래서 그 욕망을 절의 뒤쪽에 투영한 것이 이 관음전과 삼성전이 아닐까 싶습니다. 사실 종교를 떠나서 주요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어디에서나 매우 중요한 사항입니다.

 

  다만 이러한 인간의 욕망과는 별개로 지리산의 산자락과 절의 지붕은 정말 환상적으로 어우러지고 있습니다. 잠시 넋 놓고 풍경을 감상하였었습니다. ……물론 풍경이 주는 감동이 지나간 뒤에, 이렇게 아름다운 시설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결국 돈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기는 했습니다.

 

  천은사 사찰 한옥 건물의 지붕과, 지리산의 완만한 산등성이는 정말로 아름다웠습니다.

 

  천은사를 둘러본 이후, 근처 섬진강의 별미라는 재첩을 이용해 만든 국수를 먹으러 갔습니다. 재첩국수의 모습입니다.

 

  재첩비빔국수도 시켰습니다.

 

  국수를 잘 비비면 양념된 면이 바로 보입니다. 섬진강의 특산물로 유명한 것 중 하나가 재첩이기는 한데…… 먹어보고 왜 재첩국이나 재첩국수가 그렇게 유명해진 건지 잘 이해가 되지는 않았습니다. 물론 맛은 있었습니다.

 

 

  잠깐 이야기가 샜는데, 천은사는 정말 아름답고 마음이 평안해지는 절이었습니다. 물론 그러한 와중에도 지형의 고저차와 건물의 배치, 내·외부 장식을 이용하여 건물의 격을 구분하여 둔 것도 매우 훌륭했고요. 이러한 풍광을 보고 있자면 저도 대자대비한 부처님과 조금 더 가까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천은사

 

전남 구례군 광의면 노고단로 209

http://www.choneunsa.org/

 

지리산 천은사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위치, 방생, 천은사 사계절 사진, 불교 자료 수록.

www.choneunsa.org

 

 

 

 

 

반응형